본문
음식물류
음식물류 발생량
푸짐하게 상을 차려 놓아야 하고, 먹고 남아야 풍족함을 느끼는 우리의 음식문화는 다량의
쓰레기를 발생시키고 있으며, 매년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.
서울시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2014년 3,181톤/일, 2015년 3,166톤/일,
2016년 3,075톤/일, 2017년 2,872톤/일, 2018년 2,819톤/일 입니다.
이는 쓰레기 종량제 실시, 음식물쓰레기 분리 배출 지역 확대, 다량배출사업장의 확대,
시민의식 및 생활수준 향상, 분리수거배출 정착, 맞벌이세대 증가, 세대분화에 따른
핵가족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으며, 특히, 2013년
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전면시행에 따라 대시민 홍보 등을 통한 분리수거율 향상의
결과입니다.

음식물류 폐기물의 감량

음식물쓰레기 감량 방안
구 분 | 감량방안 |
---|---|
농수산물·생산 출하시 |
|
농수산물 판매시 |
|
가정 |
|
음식점 |
|
집단급식소 |
|
음식물류 폐기물의 자원화

-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추이
- 2018년 서울시의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은 2,819톤/일이며 100%를 재활용하였습니다.
-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시설 건설
- 배출된 음식물류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재활용 · 처리하기 위해 서울시는 자원화시설을
운영하고 있습니다. 서울시 공공처리시설은 5개시설이 있으며
처리규모는 1,423(톤/일) 입니다. 또한, 경기도 등 타 시도에 소재하고 있는
27개 민간처리시설에 음식물류폐기물을 위탁처리하고 있습니다.
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시설(공공처리시설)
구 분 | 시설명 | 위치 | 처리용량(톤/일) |
---|---|---|---|
강동구 | 강동구 음식물재활용센터 | 강동구 아리수로 87가길 275 | 360 |
도봉구 | 도봉구 음식물중간처리장 | 도봉구 도봉로 969 | 150 |
서대문구 | 서대문구 음식물자원화시설 | 고양시 덕양구 대덕로 426 | 300(가동중단) |
동대문구 | 동대문구 환경자원센터 | 동대문구 청계천로 563 | 98 |
송파구 | 송파구 음식물자원화시설 | 송파구 장지동 헌릉로 793 | 515 |
송파구 음식물자원화시설은 시설개선공사로 ’19.12.30.까지 약 200톤/일 처리 중임.